이것저것 필요한 정보를 블로그를 통해서 얻는 일이 많습니다. 얻은 정보로 문제 해결을 하고 나면 서치한 정보는 기억 속에 희미하게 머물다 사라지곤 합니다. 시간 들여 찾은 정보를 잘 모아둘 수 있도록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더군요. 정보를 제대로 찾고 잘 활용하고 나서 잘 축척해 놓는 일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블로그 운영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블로그 운영의 첫걸음, 블로그 글쓰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블로그를 통해 자신이 얻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블로그 포스팅은 생각보다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글을 쓰기 전부터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블로그 글을 쓸 때 생각해야 할 6가지

Contents
블로그 원고를 쓰고 발행할 때 생각해야 할 6가지
1. 준비
1-1. 게시물의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합니다.
글을 쓰기 전에 가장 먼저 왜 글을 쓰는지 그리고 이 글을 통해서 무엇을 성취하고 싶은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을 설득하고 싶은 글
사람들을 즐겁게 하고 싶은 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은 글
더 다양할 수 있지만 자신이 글을 쓸 때 그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 봅니다. 이는 기사를 쓸 때 글의 방향을 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만약 정보 기사를 쓰고 싶다면 정보의 유익성과 정확성이 중요하므로 사전에 준비나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문체가 명확하고 전문적이어야 합니다. 글의 구조도 논리적인 구조로 결론에서 전체 기사의 정보를 요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1-2. 기사의 주요 메세지가 무엇이지 생각해봅니다.
독자들이 글을 읽은 후에 무엇을 알게 하고 싶은지 생각해 봅니다. 이를 위해서 기사의 중심 질문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그리고 중심 질문에 대한 한 두 문장의 요약 답을 생각해 봅니다. 이것이 기사의 메시지가 된다고 합니다.
1-3. 독자가 누구인지 생각합니다.
블로그 글을 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누구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알고 시작하는 것입니다. 글을 쓰기 전에 독자를 상기하고 쓰게 되면 기사의 스타일이나 정보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어 좋습니다.
1-4. 어떤 정보가 필요할까요?
아는 것을 쓰는 것은 기본인 것 같습니다. 어떤 정보가 필요할지 중심 질문에 대한 몇 가지 하위 질문을 생각하고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답을 체계화합니다. 그리고 중요 질문에 대한 요약 답변을 알기 쉽게 표현하거나 바꿔서 설명합니다.
1-5. 기사에 적절한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독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정보를 어떻게 구성할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기사에 적절한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것은 블로그의 SEO에도 중요합니다.
블로그 기사에 좋은 역피라미드(두괄식) 스타일로 글쓰기
Contents 역피라미드(두괄식) 스타일이 블로그 글쓰기에 유용한 이유 역피라미스 글쓰기 구조는 읽는 사람,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검색 엔진도 이해시키는 역할 역피라미드(두괄식) 구조로 글 쓰
hworkshop.tistory.com
2. 블로그 기사 쓰기

이제 글을 씁니다. 완변한 원고보다는 필요한 정보와 기사의 중심 주제의 개요가 표시되도록 써봅니다. 이때 생각했던 구조와 스타일 표현이 대상 독자와 일치하도록 합니다. 처음 쓰는 원고이니 완성시킨다는 생각보다 자유롭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써 봅니다.
3. 블로그 기사 수정, 편집 및 최적화
완성된 초고를 다듬는 단계입니다.
이상한 문장이나 오류는 없는지 확인하고 블로그 원고의 구조도 알맞은지 생각해 봅니다. 온라인 맞춤법 검사도 실행합니다. 가까운 지인에게 읽어보도록 요청하는 방법도 생각 볼 것을 권합니다.
이때 검색 엔진에 맞게 기사를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키워드 분포나 텍스트의 가독성, 메타 설명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블로그 기사 발행 전 실천사항
4-1. 이미지 추가하기

기사을 포스팅하기 전에 이미지를 추가합니다. 어떤 블로거들은 글을 쓰기 전에 사진과 이미지를 만들기도 하고 어떤 블로거들은 글을 먼저 쓰고 그에 맞는 적절한 이미지를 찾기도 합니다.
4-2. 카테고리 및 태그 추가하기
블로그 원고를 준비할 때 올바르게 분류하고 그에 맞는 카테고리 및 태그의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발행을 누르기 전에 확인합니다.
4-3. 소셜 미디어용으로 최적화하기(?)
본인이 활동하고 있는 소셜의 구조에 맞게 기사를 최적화합니다.
5. 블로그 기사 발행 직후 할 일
원고를 게시한 후엔 몇 가지 공유 조치를 취합니다.
자신의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5-1. 소셜 미디에서 게시물 공유하기

소셜 미디어에 링크를 걸어 포스팅 게시를 알립니다.
이때 각 엔진(구글이나 네이버 등)은 블로그의 포스팅을 알아내지만 Pinterest에서는 알아내지 못한다고 합니다. 따로 새로운 기사가 발행되었음을 알리는 게시를 진행합니다.
5-2. 새로운 기사의 텍스트와 관련된 이미 발행된 기사에 내부 링크 걸기
블로그 기사 게시 후에 텍스트를 이미 작성된 기사 중 관련 내용에 대해 링크하는 것입니다. 기사 게시 후에 새로운 게시물에서 관련된 기존 기사가 있는지 확인하고 링크를 추가해줍니다.
6. 블로그 기사 발행 후 관리
블로그 기사가 매일 쏟아지는 상황에서 자신의 콘텐츠가 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게시된 후 홍보와 개선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셜미디어에 이미 공유했지만 6개월 정도 후에 다시 한번씩 게재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 중요한 것은 포스트 실적 분석입니다.
한 달 정도 지나면 구글 애널리틱과 구글 서치콘솔에서 블로그 게시물에 대한 실적 분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키워드가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등을 살펴보고 해당 주제에 대한 기사를 더 제공할지 고려해보거나 해당 포스트를 더 자세하게 만들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결 론
블로그를 운영해보고 싶다는 생각은 오래 전부터 해왔지만 실천이 어려웠습니다. 방법을 찾아보고 어떤 콘텐츠로 운영을 할까 고민이 많았는데 지금 내가 관심을 가지는 일들이 곧 정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기사는 블로그 글쓰기 최적화 플러그인 회사인 yoast.com의 사이트 기사를 읽고 제가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만 정리한 것입니다. 더 깊고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직접 방문하시어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그러므로 운영 방식도 다양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부터 어떻게 최적화를 하고 이후 분석을 어떤 식으로 해야 할 것인지 등을 통해 개인 브랜딩을 시도할 수도 있고, 광고 수익 목적에 맞게 운영할 수도 있고 개인의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는 블로그를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알고 운영을 하면서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 쪽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블로그 글쓰기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댓글